리눅스마스터1급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1601회

1

리눅스마스터1급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1601회

1.gif

■ 조 건

- ① : 관련 명령어만 적는다.

- ② : 관련 명령을 적는데 필요하면 옵션을 포함해서 기재한다.

-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띄어쓰기, 기호 등을 정확히 기술한다.

2.gif

■ 조 건

- ( 괄호 )는 명령어와 옵션으로 한 줄로 적는다.

- 2개의 명령에 옵션을 이용하여 소유권 및 허가권을 변경한다.

- 소유권은 tux에서 super로 변경한다.

- 소유그룹은 penguins에서 users로 변경한다.

- 허가권 변경의 옵션은 숫자 모드를 사용한다.

■ 조 건

- root 권한으로 crontab 명령어를 사용해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는 스크립트 파일의 절대경로는 /services/health_check.sh이 고, 실행권한은 설정되어 있다.

-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에 실행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5분 간격으로 자동으로 수행되게 설정한다.

3.gif

■ 조 건

- 관련 옵션을 적는다.

- 옵션은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띄어쓰기, 기호등을 정확히 기술한다.

-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argument)이 있는 경우에는 옵션과 같이 하나의 괄호에 기재한다. (예: -u posein)

4.gif

■ 조 건

- 괄호의 내용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적는다.

5.gif

■ 조 건

-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적는다.

- 관련 디렉터리는 /home2이다.

- 장치 파일명은 /dev/sdb1이고, ext4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였다.

- 해당 영역은 기본 설정 옵션 이외에 사용자 디스크 제한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6.gif

 

■ 조 건

- 로그 파일명은 절대 경로로 표기하고, 명 령어는 실행 명령어만 기입한다.

7.gif

■ 조 건

- ① :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적는다.

- ② : 로테이션 주기는 한 달 단위로 설정한다.

- ③ : 로그 파일명에 해당 날짜를 덧붙여서 생성하도록 한다.

- ④ : 로테이션은 최대 5번으로 설정한다.

8.gif

■ 조 건

- 각각의 ( 괄호 )에는 명령어, 옵션 또는 인자값(argument)을 한 개씩만 적도록 한다.

- 해당파일이 수정은 불가능하고 내용 추가만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10.gif

■ 조 건

- NFS 서버 도메인은 data.example.com이고 공유 디렉터리명은 /shared이다.

-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할 디렉터리명은 /remote_data이다.

11.gif

■ 조 건

- ① 파일생성시 적용되는 umask값은 “002"이다.

- ② vsftpd 데몬이 외부 접속 요청에 통신할 ftp 포트는 “21”이다.

- ③ 파일 송수신 로그를 지정된 파일에 저장한다.

12.gif

■ 조 건

- 웹 서버 포트 번호를 1120으로 변경한다.

- 웹 서버 도메인을 webadmin.example.com으로 설정한다.

- 웹 문서가 위치하는 디렉터리는 /var/www/html/webadmin으로 설정한다.

- 관리자 이메일주소는 webadmin@example.com로 설정한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index.php, index.html, index.htm 순서로 응답하도록 설정한다.

13.gif

■ 조 건

- 네임 서버의 주소는 ns.linux.or.kr로 설정한다.

- 관리자 이메일주소는 posein@linux.or.kr로 설정한다.

- 메일 서버는 linux.or.kr로 설정한다.

- 호스트명이 www1 및 www2를 요청했을 경우에는 www로 연결되도록 설정한다.

1.gif

■ 조 건

- 텔넷서비스는 호스트의 IP 주소가 192.168.6.7만 허가한다.

- FTP 서비스는 192.168.12.0 네트워크 대역의 호스트만 허가한다.

- FTP 서버는 vsftpd를 사용한다.

2.gif

 

■ 조 건

- ① : iptables로 설정된 정책을 파일로 저장하는 명령어를 적는다.

- ② : 파일에 저장된 iptables 정책을 불러들여서 설정하는 명령어를 적는다.

- ③ : iptables 정책을 저장하는 인자값(argument)를 적는다.

- ④ : 관련 스크립트에 의해 정책이 저장되는 파일명을 절대경로로 기재한다.

리눅스마스터1급

리눅스마스터 1급 실기 1601회

1.gif

■ 조 건

- ① : 관련 명령어만 적는다.

- ② : 관련 명령을 적는데 필요하면 옵션을 포함해서 기재한다.

-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며, 띄어쓰기, 기호 등을 정확히 기술한다.

2.gif

■ 조 건

- ( 괄호 )는 명령어와 옵션으로 한 줄로 적는다.

- 2개의 명령에 옵션을 이용하여 소유권 및 허가권을 변경한다.

- 소유권은 tux에서 super로 변경한다.

- 소유그룹은 penguins에서 users로 변경한다.

- 허가권 변경의 옵션은 숫자 모드를 사용한다.

■ 조 건

- root 권한으로 crontab 명령어를 사용해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는 스크립트 파일의 절대경로는 /services/health_check.sh이 고, 실행권한은 설정되어 있다.

-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에 실행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5분 간격으로 자동으로 수행되게 설정한다.

3.gif

■ 조 건

- 관련 옵션을 적는다.

- 옵션은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띄어쓰기, 기호등을 정확히 기술한다.

- 옵션과 관련된 인자값(argument)이 있는 경우에는 옵션과 같이 하나의 괄호에 기재한다. (예: -u posein)

4.gif

■ 조 건

- 괄호의 내용은 한글 또는 영문으로 적는다.

5.gif

■ 조 건

-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적는다.

- 관련 디렉터리는 /home2이다.

- 장치 파일명은 /dev/sdb1이고, ext4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였다.

- 해당 영역은 기본 설정 옵션 이외에 사용자 디스크 제한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6.gif

 

■ 조 건

- 로그 파일명은 절대 경로로 표기하고, 명 령어는 실행 명령어만 기입한다.

7.gif

■ 조 건

- ① : 관련 파일명을 절대 경로로 적는다.

- ② : 로테이션 주기는 한 달 단위로 설정한다.

- ③ : 로그 파일명에 해당 날짜를 덧붙여서 생성하도록 한다.

- ④ : 로테이션은 최대 5번으로 설정한다.

8.gif

■ 조 건

- 각각의 ( 괄호 )에는 명령어, 옵션 또는 인자값(argument)을 한 개씩만 적도록 한다.

- 해당파일이 수정은 불가능하고 내용 추가만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10.gif

■ 조 건

- NFS 서버 도메인은 data.example.com이고 공유 디렉터리명은 /shared이다.

-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할 디렉터리명은 /remote_data이다.

11.gif

■ 조 건

- ① 파일생성시 적용되는 umask값은 “002"이다.

- ② vsftpd 데몬이 외부 접속 요청에 통신할 ftp 포트는 “21”이다.

- ③ 파일 송수신 로그를 지정된 파일에 저장한다.

12.gif

■ 조 건

- 웹 서버 포트 번호를 1120으로 변경한다.

- 웹 서버 도메인을 webadmin.example.com으로 설정한다.

- 웹 문서가 위치하는 디렉터리는 /var/www/html/webadmin으로 설정한다.

- 관리자 이메일주소는 webadmin@example.com로 설정한다.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index.php, index.html, index.htm 순서로 응답하도록 설정한다.

13.gif

■ 조 건

- 네임 서버의 주소는 ns.linux.or.kr로 설정한다.

- 관리자 이메일주소는 posein@linux.or.kr로 설정한다.

- 메일 서버는 linux.or.kr로 설정한다.

- 호스트명이 www1 및 www2를 요청했을 경우에는 www로 연결되도록 설정한다.

1.gif

■ 조 건

- 텔넷서비스는 호스트의 IP 주소가 192.168.6.7만 허가한다.

- FTP 서비스는 192.168.12.0 네트워크 대역의 호스트만 허가한다.

- FTP 서버는 vsftpd를 사용한다.

2.gif

 

■ 조 건

- ① : iptables로 설정된 정책을 파일로 저장하는 명령어를 적는다.

- ② : 파일에 저장된 iptables 정책을 불러들여서 설정하는 명령어를 적는다.

- ③ : iptables 정책을 저장하는 인자값(argument)를 적는다.

- ④ : 관련 스크립트에 의해 정책이 저장되는 파일명을 절대경로로 기재한다.

제출
OMR
초기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