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IMP(IP Multimedia Subsystem)
- 음성과 영상, 대용량 데이터등 모든서비스를 IP기반으로 제공해 주는 기술
- 3GPP(이동통신분야의 국제표준을 개발하는 단체)에서 처음 소개
- 개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음
- 멀티미디어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프로토콜로 SIP 채택됨
- 액세스 계층, 전송계층, 제어계층(CSCF,HSS,MRF), 서비스(어플리케이션) 계층이 있음
-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SIP 기반 호처리
-> P(Proxy)-CSCF(단말기가 IMS에 처음 접속하는 접속점)
-> S(Service)-CSCF(핵심으로 세션제어와 등록서비스를 수행)
-> I(Interrogation)-CSCF(타 망으로 부터 수신한 SIP메세지를 S-CSCF에 Routing
- HSS(가입자서버)
-> 이동통신인 HLP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등록 및 변경 관리, 인증, 권한부여, 위치정보, 과금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용
서버
- MRF
-> 동영상 서비스제공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제공
1.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표준화 된 '개방형' 아키텍처로서 '음성 및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를 위한 'IP기반의 플랫폼'
2. ITU-T에서 정의한 'H.323' 프토토콜을 기본으로 한다 -> IMP의 신호 프로토콜은 SIP 프로토콜
3. 망구조는 기능에 따라 '전송','세션제어',어플리케이션의 세가지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4. 세션제어 계층은 '호제어, 라우팅, 세션제어, 과금, 위치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와 HSS(Home Subscriber Server)'가 주된 구성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