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해설

<문제 해설>
허브(Hub) : 한꺼번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 (분배기)
리피터(Repeater) : 장거리 전송 시에 신호를 재생, 증폭해 주는 장치
라우터(Router) : 최적의/최선의/적절한 경로
게이트웨이(Gateway) : 출입구, 관문의 역할을 하며 서로 다른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브리지(Bridge) : 다리의 역할을 하며 서로 같은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모뎀(Modem) : 변복조기

브리지는 하나의 랜을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이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랜과 연결시켜주는 제품을 말하며, 각 랜에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은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서도 랜이 확장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브리지를, 당신이 누군가에게 보낸 메시지에 대해 같은 건물 내에 있는 랜으로 보내야할지, 혹은 길 건너 다른 빌딩 내의 랜으로 보내야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라고 생각해도 좋다. 브리지는 랜 상의 각 메시지들을 조사한 다음, 같은 랜으로 보내야할 메시지는 받아들이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랜으로 보내야 할 것들은 넘겨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웍들에서 컴퓨터나 노드 주소들은 실제 위치와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메시지들은 네트웍 상의 모든 주소로 보내지지만, 그 메시지들은 오직 목적지 노드에 의해서만 받아들여진다. 브리지는 어떤 주소들이 어떤 네트웍에 있는지를 미리 파악하고, 메시지들을 정확히 다른 네트웍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미리 표를 작성해 놓는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웍들은 일반적으로 항상 랜에 상호 연결되어 있고, 모든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대형 네트웍인 경우 불필요한 네트웍 트래픽들이 쇄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과 같은 라우팅 네트웍은 각 노드에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메시지나 패킷들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대신에 한 방향으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③번은 모뎀(Modem)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