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처리기 스케줄러의 그림을 이해 한다면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1. 준비 상태인 프로세스는 바로 실행상태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Dispatch)
2. 대기 상태인 프로세스는 역으로 실행상태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 실행 -> 대기 : 인터럽트 발생)
3. 제출 상태인 프로세스는 준비상태로 바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제출 -> 접수 -> 준비)
4. 제출 상태인 프로세스는 대기상태로 바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제출 -> 접수 -> 준비 -> 실행 -> 대기)
[해설작성자 : 숭평원18]
처리기 단어가 언급된 문제 입니다.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 운영체제 구조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3
① 하나의 프로세스를 주(Master)프로세서로 지정하고, 나머지들은 종(Slave)프로세서로 지정한다.
② 운영체제의 수행은 주(Master)프로세서가 담당한다.
③ 주(Master)프로세서와 종(Slave)프로세서가 동시에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대칭 구조를 갖는다. 틀림
④ 주(Master)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된다.
RR(ROUND ROBIN) 스케줄링 기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① 할당된 자원과 처리기의 소유권은 수행중인 프로세스의 제어권한이다. 틀림
② FIFO스케줄링 기법을 선점기법 (PREEMPTIVE)으로 구현한 것이다.
③ 대화식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이다.
④ 빈번한 스케줄러의 실행이 요구된다.
운영체제 구성요소의 핵심으로 인터럽트 처리기, 디스패처, 프로세스 동기화 등을 지원하는 것은? 3
① I/O 인터페이스
② Shell
③ Kernel
④ NetBIOS
Master/Slave(주/종)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
① 종 프로세서는 입, 출력 발생 시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② 주 프로세서는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③ 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이 다운된다.
④ 종 프로세서는 입, 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틀림 / 주 프로세서가 담당함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의 주/종(Master/Slave) 구조에 서 각각의 기능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Master : 연산 및 입출력 담당, Slave : 연산 담당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 구조 중 주종(Master/Slave) 처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① 주프로세서가 고장 날 경우에도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지 않는다. 틀림
②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③ 종프로세서는 입출력 발생 시 주프로세서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④ 주프로세서가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비대칭 구조를 갖는다.
다음 중 병렬 처리 시스템 방식이 아닌 것은? 2
① 배열 처리기 방식
② 약 결합 시스템 틀림
③ 파이프라인 방식
④ 주종 다중 처리기
강결합(Tightly-coupled) 시스템과 약결합(Loosely-coupled)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① 약결합 시스템은 각각의 시스템이 별도의 운영체제를 가진다.
② 강결합 시스템은 각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다. 틀림
③ 강결합 시스템은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처리기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④ 결합 시스템은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