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9년 05월 19일 기출문제

6. TCP 헤더 중에서 에러 제어를 위한 필드는?

*해설

<문제 해설>
checksum: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

Checksum 은 에러 제거가 아닌 에러 검출 필드이다. 에러 제어는 재전송으로 해결한다.
에러 제어 매커니즘은 재전송이다. TCP 계층에서의 에러제어는 Sequence Number 를 기준으로 진행한다. 목적지에서 수신한 세그먼트에서 오류가 있거나, 누락한 세그먼트의 Sequence Number를 ACK 필드에 포함하여 회신한다. 송신지는 목적지가 보내준 ACK Sequence Number 에 따라서 세그먼트를 전송한다. 결국, 송신지는 목적지의 ACK 번호에 따라 세그먼트를 보내기 때문에 본인이 보낸 세그먼트가 오류가 있었는지, 누락됐는지, 잘도착했는지 모른다. 그냥 목적지가 보내준 ACK 번호에 의해 세그먼트를 보낼 뿐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가 잘못되었거나, 답지가 잘못되었습니다.
에러 제어 = TCP의 헤더의 ACK Number를 기반으로 하는 재전송 매커니즘을 사용합니다.

답지에 ACK Number가 없는 것으로 봐서, 문제가 잘못된듯 합니다.
에러제어 -> 에러검출(탐지) 로 변경해야 합니다.

에러 제어는 에러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제어(컨트롤)할 것이냐의 문제 입니다. TCP에서는 에러 제어는 아래 링크의 설명과 같이 재전송 방법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에러는 목적지에서 세크먼트가 도달하지 않았거나, 체크섬 검사에서 오류로 판단되었거나와 같은 한번에 송수신하는 세그먼트 전체를 놓고봐야 합니다.

이에 반해 에러 탐지는 그냥 하나의 세그먼트의 헤더에 대한 비트 오류여부를 탐지하는 것입니다. 만약 오류로 판단되면 그 다음 오류 제어 매커니즘이 동작해야 합니다.

따라서 문제와 답지를 종합해보면 문제를 에러 검출(탐지) 정도로 바꾸거나, 4번 답지를 ack number로 변경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애니고 - 이근수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