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정보통신기사

2017년 03월 05일 기출문제

32. 인터넷 통신망에서 가입자가 요구하는 서비스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가입자의 입력 트래픽을 특성에 의해 몇 개의 클래스로 그룹화하여 클래스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해설

<문제 해설>
차등화 서비스 또는 DiffServ란 컴퓨터 네트워킹의 한 구조로서, IP 네트워크에서 IntServ와 같이 통신 흐름 마다 QoS 보장(통신 품질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흐름을 정리해(집계하고) 몇 개 정도의 클래스를 만들고 클래스마다 정해진 QoS 보장 방법의 조합을 적용하는 QoS 보장 방법이다. IETF 의 RFC 2474 등의 표준 문서에 의해 규정되어있다. 현대 IP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류 및 관리하고 QoS를 제공하는, 간단하고 확장성 있는 대단위 매커니즘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DiffServ는 웹 트래픽이나 파일 이동같은 중요도가 낮은 서비스에 단순한 최선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음성이나 스트리밍 미디어같은 중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에는 저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DiffServ는 IP 헤더에서 패킷 분류의 목적으로 6비트의 차등화 서비스 필드 (DS 필드)를 사용한다. DS필드와 ECN필드는 기존 IPv4의 TOS필드를 대신한다.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