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해설

<문제 해설>
0종 장소 : 장기간, 연속적, 항상 존재 - 용기, 장치내부
1종 장소 : 자주 존재 - 맨홀, 벤트 등의 주위, 개구부
2종 장소 : 가끔, 단기간 - 개크킷 주위 등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의4] 폭발위험장소의 분류(제333조관련)
분류 | 적요 | 예
--------------------------------------------------------------------------------------------------------------
가스폭발위험장소 :
0종 장소 |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 용기·장치·배관 등의 내부 등
| 폭발위험이 지속적으로 또는 장기간 존재하는 장소 |
--------------------------------------------------------------------------------------------------------------
1종 장소 | 정상 작동상태에서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 맨홀·벤트·피트 등의 주위
| 폭발위험분위기가 존재하기 쉬운 장소 |
--------------------------------------------------------------------------------------------------------------
2종 장소 | 정상작동상태에서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 개스킷·패킹 등의 주위
| 폭발위험분위기가 존재할 우려가 없으나, |
| 존재할 경우 그 빈도가 아주 적고 단기간만 존재할 수 있는 장소 |
--------------------------------------------------------------------------------------------------------------
분진폭발위험장소 :
20종 장소 | 분진운 형태의 가연성 분진이 | 호퍼·분진저장소·집진장치·필터 등의 내부
| 폭발농도를 형성할 정도로 충분한 양이 |
| 정상작동 중에 연속적으로 또는 자주 존재하거나, |
| 제어할 수 없을 정도의 양 및 두께의 분진층이 형성될 수 있는 장소 |
--------------------------------------------------------------------------------------------------------------
21종 장소 | 20종 장소 외의 장소로서, | 집진장치·백필터·배기구 등의 주위,
| 분진운 형태의 가연성 분진이 | 이송밸트 샘플링 지역 등
| 폭발농도를 형성할 정도의 충분한 양이 |
| 정상작동 중에 존재할 수 있는 장소 |
--------------------------------------------------------------------------------------------------------------
22종 장소 | 21종 장소 외의 장소로서, | 21종 장소에서 예방조치가 취하여진 지역,
| 가연성 분진운 형태가 | 환기설비 등과 같은 안전장치 배출구 주위 등
| 드물게 발생 또는 단기간 존재할 우려가 있거나, |
| 이상작동 상태하에서 가연성 분진층이 형성될 수 있는 장소 |
--------------------------------------------------------------------------------------------------------------
※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가연성 가스에 의한 폭발위험분위기”라 함은 연소가 계속될 수 있는 가스나 증기상태의 가연성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