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해설

<문제 해설>
1. 초기고장기간 : 주로 표준 이하의 재료의 사용 및 불충분한 작업, 불충분한 디버깅(Debugging), 부적절한 설치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전수검사를 통한 Burn-in 시험을 실시하여 초기 고장을 경감시켜야 한다.

2. 우발고장기간 : 주로 제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부하)가 높거나, 사용자의 과도한 사용 및 사용자의 오용, 디버깅과 Burn-in 등과 같은 초기고장기간의 시험 등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원인들로 발생한다. 이러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선 제품 사용의 극한상황을 고려한 설계, 안전계수(Safety Margin)이나 Derating을 고려한 설계 등이 필요하며 주로 로트의 합부판정을 수행하는 신뢰성 샘풀링 검사가 적용된다.

3. 마모고장기간 : 제품의 부식, 산화, 마모, 피로, 노화, 퇴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마모 고장이 시작되는 시점이나 제품의 퇴역시기를 결정하는 내구시험이 실시된다. 일정시간간격으로 분해수리(Overhaul)나 부품교체 등의 예방보전을 실시하면 고장률이 계속해서 증가하지 않고 예방보전주기에 따라 고장률이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가 된다.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