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년 08월 04일 기출문제

40. 어떤 제어 기억장치의 단어 길이가 32비트, 마이크로명령어 형식의 연산필드는 12비트, 조건을 결정하는 플래그의 수는 4개일 때, 제어 기억장치의 최대 용량은 약 몇 Byte인가? (단, 분기필드는 필요하지 않다고 가정한다.)

*해설

<문제 해설>
제어 기억장치의 최대 용량
제어 기억장치의 용량 = 메모리 용량 = 워드의 개수 × 워드의 크기
어드레스 필드의 크기 = 워드의 크기 - (연산필드 + 플래그의 크기)
워드의 개수 = 2의 (어드레스 필드)승

워드 = 명령어
명령어 = 연산자부(op-code, flag) + 주소부(operand)

Q. 어떤 제어 기억장치의 단어 길이가 32비트, 마이크로 명령이 형식의 연산필드는 12비트, 조건을 결정하는 플래그의 수는 4개일 때, 제어 기억장치의 최대 용량은 얼마인가?

단어의 길이가 32비트 이므로 연산자부와 주소부를 합친 게 32비트이다.
연산 필드가 12비트이고 별도의 플래그가 4개라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연산자부에 저장될 플래그 저장 공간 2비트도 추가 해야 한다.
순수한 주소부의 크기는 32 - (12 + 2) = 18비트
결국 주소부의 크기가 2의 18승이므로 워드의 개수도 2의 18승개
메모리 용량은 (워드의 개수 × 워드의 크기)이므로, 32 × 2의 18승 = 2의 23승
1MB = 2의 10승(1024) × 2의 10승(1024) × 2의 3승(byte)
답은 2의 23승 = 1MB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