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년 04월 27일 기출문제

74. 자원 보호 기법 중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이며, 영역과 결합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액세스되는 기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해설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리스트는 접근 제어리스트입니다
그래서정답은 3번입니다

[오류신고 반론]
1. 접근 제어 행렬(access control matrix) : 자원 보호의 일반적인 모델로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행렬로 표시한 기법
2. 권한 리스트(capability list) : 접근 제어 행렬에 있는 각 행, 즉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각 사용자에 대한 자격들로 구성되며, 자격은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연산(조작) 리스트임
3. 접근 제어 리스트(access control list) : 접근 제어 행렬에 있는 각 열, 즉 객체를 중심으로 접근 리스트를 구성한 기법
4. 자물쇠와 열쇠(lock/key) 매커니즘 : 록-키는 접근 제어 리스트와 권한 리스트를 절충한 기법 각 객체는 Lock, 각 영역은 Key라 불리는 유일하고도 독특한 값을 갖고 있어서 영역과 객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객체에 접근 가능

2번 맞지 않나요??

[오류신고 반론]
접근 제어리스트는 객체 중심으로 접근 리스트를 구성하며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는 모든 영역을 의미하는 겁니다
문제에서는 객체에 대한 것이 아닌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리스트 이죠
이것은 권한리스트 이므로 2번이 맞는거 같네요.

[추가 오류 신고]
접근제어리스트(Access Control List) :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이며, 영역과 결합되어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액세스되는 기법. 접근제어행렬에서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는 제외한다.

자격리스트(Capability List) : 사용자 개개인에 허용된 조작 리스트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면 사용자의 권한을 파악 하게된다. 접근 제어 행렬에서 수평으로 있는 각 행만을 따온 것으로서 영역에 대한 권한은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연산자로 구성되어 있다.

답은 3번입니다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