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전기기사

2019년 08월 04일 기출문제

40. 케이블의 전력 손실과 관계가 없는 것은?

*해설

<문제 해설>
철손은 무부하손에 해당된다.

[추가 해설]
전력케이블의 손실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음.
- 도체손, 유전체손, 시스손(연피손)

1. 도체손(저항손) : 저항을 가진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력손실(동손)이나, 송전 중에 선로의 저항과 부하전류에 의해 생기는 손실
- 특징: 케이블 도체에서 발생되는 손실로 전력손실 중 가장 크다.
- 저감책 : 도전율이 좋고, 길이는 짧고 단면적이 큰 도체 사용

2. 유전체손 : 교류전압의 변화에 따라 유전체 내의 전자가 이동하므로 에너지가 소비되고 절연체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 특징 : 1. 절연체를 전극간에 끼우고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발생되는 손실
- 특징 : 2. 케이블에 전압 인가시 정전용량에 의한 충전전류(Ic =wCE)와 전압과 동상인 IR로 구성.
- 저감책 : W(유전손실)은 tan?에 비례하므로 IR을 줄일 수 있는 절연이 우수한 절연체 사용.

3. 연피손(시스손)
- 특징 : 1. 연피 및 알루미늄 피 등 도전성의 외피를 갖는 케이블의 경우 발생
- 다시 와전류손과 시스회로손으로 나뉨.
1. 와전류손 : 시스(sheath)의 근접효과로 인해 시스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
2. 시스회로손 : 케이블 양단의 시스를 접지하였을 경우에 유기전압에 의해 순환전류가 흘러 발생.

시스손은 시스의 저항률이 적을 수록, 전류의 크기가 크고, 주파수가 클수록, 단심 케이블의 이격거리가 클수록 크다.(3심 케이블의 경우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 저감대책
1. 연가
2. 시스 자체 접지(편단 접지, 크로스 본딩)
3. 케이블의 근접 시공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