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소방설비기사(전기)

2019년 04월 27일 기출문제

14. 물 소화약제를 어떠한 상태로 주수할 경우 전기화재의 진압에서도 소화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

*해설

<문제 해설>
봉상:막대모양의 굵은 물줄기를 가연물에 직접 주수하는 방법으로 소방용 방수노즐을 이용한 주수가 대부분 여기에 속함
현재도 가장 널리 사용, 열용량이 큰 일반 고체 가연물의 대규모 화재에 유효함, 감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안전거리 유지 필요
적상:스프링클러 소화설비 헤드의 주수 형태로 살수라고도 함. 저압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물방물의 평균 직격은 0.5~6mm정도.
일반적으로 고체 가연물의 화재에 사용
무상:물분무 소화설비의 헤드나 소방대의 분무노즐에서 고압으로 방수할 때 나타나는 안개형태의 주수형태
물방울의 평균 직경은 0.1~1.0mm정도임
소화 효과의 측면에서 본 최저 입경은 열전달과 물방물의 최대 속도와의 관계로부터 이론적으로 유도해보면 0.35mm 정도임
일반적으로 유류화재에 물을 사용하면 연소면이 확대되기 때문에 물의 사용을 금하고 있지만 중질유 화재(중질의 연료유, 윤활유, 아스팔트 등과 같은 고비점유의 화재)의 경우에는 물을 무상으로 주수하면 급속한 증발에 의한 질식 효과와 에멀젼 효과에 의해 소화가 가능함.
전기 전도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전기화재에도 유효하나 이때에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감전을 방지해야 함

※ 물의 주수 형태
(1) 봉상 주수 - 일반 화재
(2) 적상 주수 - 일반 화재
(3) 무상 주수 - 일반 화재, 유류 화재, 전기 화재

봉상주수 - 물줄기를 봉모양으로 해서 하는방식이라 감전되어 죽음.
무상주수- 물줄기를 안개처럼 퍼뜨려서 소화하는 방식으로 감전안됨
공유
해설보기
정답보기
<<이전
다음>>
목록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